도림사
불교기본의식
예경의식
사찰에서 예불전에 도량을 청정이 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이다. 도량이란 불도를 수행하는 장소 즉 절이나 포교당, 암자등을 말한다. 대개 절에서는 사원청규가 있어 대중들이 일정한 규칙 속에서 생활하기 마련이다. 저녁 10시에는 자고 아침에는 3시에 일어난다. 잘 때는 취침종을 윌라고 아침에는 도량석을 하여서 잠을 깬다.
- (1) 도량석
-
도량석
사찰에서 예불 전에 도량을 청정히 하기 위하여 행하는 의식이다. 도량이란 불도를 수행하는 장소 즉 절이나 포교당·암자 등을 말한다. 대개 절에서는 사원청규가 있어 대중들이 일정한 규칙 속에서 생활하기 마련이다. 저녁에는 10시에 자고 아침에는 3시에 일어난다. 잘 때는 취침종을 울리고 아침에는 도량석을 하여서 잠을 깬다.
부전 스님이 먼저 일어나 큰 법당에 향과 촛불을 켜고 삼배를 한 뒤 법당 앞으로 나와 목탁을 낮은 소리로부터 점차 높은 소리로 올렸다 내리는 것을 세 차례나 하고 목탁석에 맞추어 《천수경》 《사대주》 《약찬게》 《참회게》 《참선곡》 등 필요에 따라 택하여 송하면서 도량을 돈다. 선방에서는 조용히 목탁만 울려 잠을 깨우는 경향이 있고 《증도가證道歌》나 《금강경》을 많이 읽기도 한다.
법당을 돌아서 염불을 마칠 즈음에는 법당 앞 정면에 이르게 된다. 이때 목탁을 세 번 내리치고 마친다. 절 안의 대중들은 도량석을 듣고 모두 일어나 예불 준비를 한다.
인도에서는 처음에 석장錫杖을 울리며 돌았고 나중에는 방울·요령 등이 사용되다가 현재의 목탁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이 때 외우는 의식으로 도량을 맑게 하고 도량 안팎의 호법신장이 예불심을 일으키게 되어 모든 잡귀를 몰아내며, 주위의 짐승과 미물에 이르기까지 피해를 입지 않도록 안전한 장소로 들어가게 하는 자비스러운 뜻도 있다.
- (2) 종송
-
종송
종을 치며 하는 독송으로 새벽종송과 저녁종송이 있다. 새벽종송은 도량석이 끝나는 것과 동시에 작은 소리로부터 큰 소리로 점차 높이 울린 다음 게송을 하면서 종을 치게 된다. 그 의미는 아미타불을 위신력과 극락 세계의 장엄을 설하여 지옥의 고통받는 유주무주의 중생들이 종송을 듣고서 불보살님께 귀의 발원하여 왕생극락하도록 구제하는 데 있다.
저녁종송은 저녁 예불 전에 타종 다섯 번을 하면서 송하는데 그 내용은 일체의 번뇌를 끊고 지혜를 길러 보리심을 냄으로써 지옥을파하고 삼계를 벗어나 성불하여 모든 중생을 구제하도록 하는 것이다. 종송은 게문偈文과 더불어 이를 송하는 음악적 의미를 중요시한 말이다. 종송의 음률은 범패의 일종으로서 그 음악적 의미는 한국 전통음악의 특수한 선율을 지니고 있어 중요시된다.
- (3) 조석예불
-
조석예불
절에서 아침과 저녁에 부처님께 예배하는 의식으로 수행의 공식적인 시작이며 하루를 반성하고 마감하는 의식이다. 절의 모든 대중은 이 의식에 꼭 참석해야 한다.
먼저 아침 예불 때에는 도량석을 돌 동안 대중은 모두 일어나 세면을 하고 법당에 들어가 우선 불전에 삼배를 드리고 조용히 앉는다. 도량석이 끝나는 것과 함께 낮은 소리로부터 종송이 시작되고 이어서 사물四物이 여법하게 울린다. 대게 북을 치고 대종을 아침 28회, 저녁 33회 타종하고 목어와 운판을 친다. 상단에 예불할 때에는 차나 옥수玉水를 공양하고 다게례茶揭禮를 한다.
예불이란 부처님께 예배 드림을 말한다. 여기서 부처님은 2,600여 년 전 인도 당시에 살고 계셨던 고타마 싯다르타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우리 인간의 마음에 내재해 있는 불성佛性을 뜻한다. 우리의 예배 대상으로서의 부처란 역사 속의 고타마 싯다르타 뿐만 아니라 세상의 모든 존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예불이란 순간순간 끊임없이 자신의 모습을 똑바로 바라보는 것, 즉 존재의 참됨을 인식하는 것을 말한다. 예배하는 이와 예배 받는 이가 온통 없어진 행위의 불가사의 속에서, 나와 남이 존재하지 않는 공간 속에서 예불이란 행위적 표현을 통해서 실체를 발견하는 것이다.
현재 우리 나라의 예경문으로 사용되고 있는 오분향은 7번의 절을 하도록 되어 있는 까닭에 칠정례七頂禮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칠정례는 기존에 사용되어 오던 많은 종류의 예경문을 종합해서 간략화 한 것으로서, 1995년 월운月雲 스님에 의해 만들어졌다.
我今淸淨水 아금청정수 내 지금 깨끗한 물로
變爲甘露茶 변위감로다 감로의 차를 만들어
奉獻三寶殿 봉헌삼보전 불법승 삼보께 봉헌하오니
願垂哀納受 원수애납수 원컨대 어여삐 받아주소서
- (4) 오분향례
-
오분향례
오분향례란 오분법신, 즉 부처님께 향을 공양하고 예를 올리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여기서 오분법신이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이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보살 및 성문, 연각의 수행 과정을 설명해야 하는데 여기에는 견도 및 수도, 무학도의 세 가지 수행 정도가 있게 된다.
오분향례란 오분법신五分法身, 즉 부처님께 향香을 공양하고 예禮를 올리는 것을 말한다. 그런데 여기서 오분법신이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이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보살菩薩 및 성문聲聞, 연각緣覺의 수행 과정을 설명해야 하는데 여기에는 견도見道 및 수도修道, 무학도無學道의 세 가지 수행 정도가 있게 된다.
여기서 견도라 함은 온갖 지적 미혹함에서 벗어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수도라 함은 온갖 정情과 의意의 방편적 번뇌에서 벗어나는 것을, 그리고 무학도란 수행을 완료하여 소승小乘의 아라한阿羅漢이거나 대승大乘의 부처님께서 닦으신 도의 상태에 이르는 것을 말하게 된다.
이렇듯 여러 단계의 수행을 거쳐 대·소승의 무학도의 지위에 이르는 부처님과 아라한이 갖게 되는 법체法體, 이를 오분법신五分法身이라 말한다.
이 오분법신은 계신戒身·정신定身·혜신慧身·해탈신解脫身·해 가지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탐심貪心을 여의므로써 망상을 떨쳐 계戒의 몸을 얻을 수 있고, 진심瞋心을 여의므로써 망상을 떨쳐 정定의 몸을 얻을 수 있고, 치심癡心을 여의므로써 망상을 떨쳐 혜慧의 몸을 얻을 수 있으며, 이렇게 계·정·혜의 삼독 번뇌의 속박에서 벗어나 자유자재함을 얻으므로써해탈解脫의 몸을 얻고, 마침내는 일체 번뇌의 속박에서 벗어난 자유자재의 몸임을 스스로 알아차린 부처님 내지 대아라한의 경지에 이를 수 있는 것이다.
우리는 이들 오분법신을 향香에 비유해서 계향·정향·혜향·해탈향·해탈지견향 등 오분향五分香으로 말하고 있다. 이 오분법신에 향을 공양하고 예를 올림을 또한 오분향례五分香禮라 부른다.
한편 향이란 산스크리트어 간다(gandha)의 번역어로 건타健陀라 음역되기도 한다. 그 자체로서 계戒를 상징하기도 하는데 그 냄새를 맡거나 향을 몸에 바르면 오근五根을 청정케 하여 무량한 공덕을 얻게 된다고 전한다.